다이아몬드 자료실
Diamond

≡다이아몬드의 어원
다이아몬드라는 단어는 정복할 수 없다는 뜻을 가진 그리이스어 adamas로부터 유래되었다.
태고적부터 르네상스시대까지 사람들은 만들어냈던 그 어떤 불의 열기에도 녹지 않은 다이아몬드를 바라보았고 이것이 그들이 다이아몬드가 불멸의 상징이라고 생각하게 된 믿음의 근원이었다. 그리고 또한 그 당시의 그리이스인들은 불에 녹지 않던 단단한 금속(철합금) 역시 adamas라고 묘사하며 같은 말을 사용했다.
BC475년경에 그리이스 극작가 에스킬러스는 그 말을 프라미씨어스의 쇠사슬을 묘사하는데 사용했고 로마의 시인 버질 (70~19BC)은 Solid adamant로서 지옥의 문기둥을 묘사했다. 얼마 후 오비드(BC43~AD17)는 아다마스를 철과 같이 단단한 금속을 언급하는데 사용했다.
” 다이아몬드” 와 “애더먼트(Adamant)” 란 단어가 최초로 영어의 부분이 되었을 때 그들도 또한 언제나 금속을 언급했다…
18세기 영국 시인은 윌리엄3세를 “…..전쟁으로 유명한 화성과도 같으며 갑옷이 에더먼틴처럼 단단한 외관을 띠고 있다.” 라고 묘사했다.
에더먼트와 애더먼틴의 단어는 또한 자석과 천연 자석을 의미한다.
제프리 쵸서는 아다마스를 철 또는 천연 자석으로 켄터베리 이야기에서 사용했다.
그는 보석을 표현하는데 디어먼(Dyomaunt)을 사용했고 그리고 세익스피어의 한 여름밤의 꿈이라는 작품에는 “당신의 Adamant같은 강한마음이 나를 당신에게 끌리게 했다.” 라는 말을 썼다.
다이아몬드가 깨어지지 않는다는 믿음은 1500년대 비로소 다이아몬드에 컷팅의 개념이 자리잡으면서 쇠퇴하기 시작되었다.
오늘날 다이아몬드는 결과적으로 보석을 위한 이름으로 사용된다. 그리고 애더먼트는 오직 꿰뚫을 수 없는 어떤 것에 시적인 또 미사여구의 표현으로서 사용된다.
≡다이아몬드의 유래와 전설
▶ 다이아몬드의 유래와 전설
유럽에서는 15세기까지 오직 왕들만이 힘과 용기 그리고 천하무적임을 상징하려는 의미로 다이아몬드를 착용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면서 이것은 영원한 사랑의 상징으로서 그것의 위상을 형성해 왔다.
큐피터의 화살촉이 다이아몬드로 만들어지지 않았을까?
다이아몬드는 여러가지 낭만적인 전설을 가지고 있다. ‘Diamon”는 그리스어 아마다스 ‘Adamas’에서 유래되었고, 이것은 ‘정복할수 없다’라는 의미와 ‘영원한 사랑’을 동시에 뜻한다. 고대 그리스인들은 다이아몬드의 빛을 사랑의 영원한 불꽃이라고 생각했었다. 다이아몬드는 정복할 수 없다는 뜻의 그리스어인 아다마스(Adamas)로 쓴 이유는 르네상스 시대까지 사람들이 만들어낸 불이나 열로도 다이아몬드가 녹지 않았기 때문이었다. 오래 전에 다이아몬드는 남성 독점이었다. 여성들의 다이아몬드 착용이 엄격히 금지되어 있었다.
처음으로 다이아몬드 반지를 약혼 반지로 사용한 때는 1477년 오스트리아에서 있었다.
다이아몬드는 불교에서도 중요한 상징물이었다. 다이아몬드를 표현했던 벼락이란 뜻을 가진 산스크리트어 바이라(Vaira)는 완전한 믿음의 평온과 정신적인 안정, 명확한 사고,자유로운 정신을 뜻한다.
로마의 작가 마크로비우스는 다이아몬드 반지를 네번재 손가락에 끼는 이유가 ‘사랑의정맥’이 심장에서 곧 바로 왼손의 네번째 손가락으로 연결된다는 고대 이집트인들의 믿음에 근원을 두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다.
다른 재미있는 이유로는 네번째 손가락이 가장 약한 손가락이고 혼자서는 사용할 수 없는 손가락이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사막에서 갈증에 허덕이던 어머니가 다이아몬드를 넣은 꿀을 마시자 금새 다 죽어가는 아이에게 젖을 줄 수 있어 아이를 살릴 수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여성들이 반드시 간직해야 하는 수호석 이라고 여겨졌다. 승리와 성공의 정점을 상징하기도 하는 보석으로 왕의 머리에는 없어서는 안되는 돌이라고 여겨 주로 왕관의 중심보석으로 사용 되어졌다.
또한 부와 행복을 가져다 주는 행운의 상징이라고 믿었는데, 오늘날 결혼 때 사용하는 의미는 바로 이러한 믿음에서 오는 것이다.
또한 젊은 연인이 다이아몬드 반지를 주는 것은 서로의 사랑이 영원하리라는 믿음를 가지기 때문이다.
▶ 다이아몬드의 출현
다이아몬드는 18세기까지 보석의 유일한 원산지였던 인도에서 인간 역사의 무대에 처음 출연하게 되었다.
짐작하기로 첫번째 다이아몬드는 기원전 3000년전으로 생각하고 있다. 1905년에 발견된 고대 산스크리트 서적에 의하면 BC4세기말까지 인도가 다이아몬드 교역에 활발한 행동을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당시 다이아몬드는 조세의 방법으로도 쓰였고 왕실 수입의 큰 역활을 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 로마시대
로마가 그들의 지배권을 지중해 전역에 뻗치기 전 다이아몬드는 서양에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당시 로마에 유입되는 돌은 작고 보잘것없는 저급이었다. 하지만 그 작고 보잘것없는 돌일지라도 그 휘귀성과 신비한 매력에 빠져 더없이 소중한 것으로 여겼다.
중세말 다이아몬드는 그 신비한 힘에 최고의 가치를 두었었다. 따라서 신기한 부적의 의미로 높은 지위의 남자들에게만 제한적으로 착용하였다. 그러다 다이아몬드의 미적인 장점이 부각되면서 남녀 모두 좋아하는 일종의 장신구의 형태로 전환되었다.
또한 연마바퀴가 개발되면서 다이아몬드의 광학적인 잠재력을 열게되고 더욱 매력을 띄게 된다.
▶ 유럽의 다이아몬드
다이아몬드는 1700년대까지 유럽의 탄생석목록에 나타나지 않았다. 18세기 초에 와서야 오늘날 위치인 4월에 지명되었다.
15세기 프랑스의 찰스 7세의 연인인 아그네스 소렐은 대중앞에서 다이아몬드를 착용한 첫번째 여성(최초의 평민)이 된다.
같은 세기 버건디의 공작이었던 찰스느 다이아몬드 수집광이었는데 그의 딸 메리가 오스트리아의 맥시밀리언 대공(후에 로마 제국 황제)으로부터 최초로 기록된 다이아몬드가 박힌 약혼반지를 받았었다.
16,7세기에는 프랑스가 유럽의 다이아몬드 시장을 이끌었다.
태양의 왕이라고 불리웠던 루이 14세 통치기간에는 세상의 값진 다이아몬드가 프랑스로 흘러 들어왔다.
루이는 태브니어로부터 44개의 커다란 다이아몬드, 좀 작은 다이아몬드 1100여개 이상을 샀다고 한다.(10캐럿 이상 109개와 10캐럿 사이의 것 273개라고 알려진다)
▶ 러시아의 다이아몬드
프랑스의 왕들이 자신들의 영광을 위하여 다이아몬드에 열광했던 반면 러시아의 짜르들은 권력의 상징으로 다이아몬드를 사용하였다. 1600년대 초부터 다이아몬드가 박힌 왕의 천체, 메달셋트, 약 900여개의 다이아몬드와 자수정,루비,터키석으로 장식된 왕관들을 소장하고 있었다. 1724년 피터는 그의 아내 캐서린 1세에게 2500개 이상의 다이아몬드가 셋팅된 왕관을 수여하기도 했다.
≡다이아몬드의 특성
다이아몬드는 순수한 탄소로 이루어져있다.
탄소는 지구상에서 가장 흔한 원소이다 . 그 흔하디 흔한 탄소가 어떤 특수한 결합에 의해 전혀 다른 물질로 변한다 다이아몬드 결정은 지구상에서 가장 희소하고 가장 가치있고 가장 아름다운 자연의 산물이다 .
▶ 기본특성
1. 금강석의 원석은 남아프리카연방, 탄자니아, 가나, 콩고 등의 아프리카지 역외에 소련, 브라질, 보츠와나 등에서 발견되고 있다 . 성분의 대부분은 순 수한 탄소 (C) 이고 아주 미량의 철 (Fe), 마그네슘 (Mg), 규산 (Si)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
2. 금강석의 결정구조는 탄소의 공유결합으로 다이아몬드 구조를 이루는 등축정계이다 . 기본적으로 8 개의 정삼각형 면을 갖는 팔면체를 이루고 있지만 사면체, 육면체, 12 면체, 24 면체, 48 면체를 가진 것도 산출되는 경우가 있다 . 대부분이 충적층의 지질층에서 발견되고 있다 . 간혹 각이지지 않고 둥근형태로 발견되기도 한다 .
3. 모오스 경도가 10 도 이므로 지구상에서 현재 존재하는 광물 중에서 가장 단단하다 . 특히 결정면에 수직방향으로는 더욱 강도가 높다 . 이러한 특성 때문에 금강석은 공업용으로도 아주 중요한 자원이다 . 광택 또한 최고로 금강 광택이라고 부른다 . 금강석이 갖는 광택은 독특한 휘도와 뛰어난 광채를 보여주기 때문에 산란되는 빛은 매우 아름답다 .
4. 비중은 3.52 이고 굴절률은 2.417 이다 . 따라서 일반 보석용 굴절로는 금강 석의 굴절율을 측정할 수 없다 . 또한 복굴절 현상을 나타내는 특성이 있다 . 한편으로 금강석은 벽개성이 있어 깨어지기 쉬우며 깨어질때는 결정면의 방향을 따라 완전히 쪼개진다 .
5. 금강석이 지니고 있는 의미는 청정무구함을 나타내고 무색투명한 순수한 청정성이 특징이고 어느 보석도 따를 수 없는 높은 굴절률에 의한 반사력과 분산력을 나타내는 물질이다 . 성질상 가장 단단하고, 광채가 뛰어나다.
/출처 : 다이아몬드의 총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