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아몬드 자료실
다이아몬드 클래리티 특징별 작도 기호
다이아몬드의 등급을 결정하는 요소 중 하나인 클래리티(Clarity). 다이아몬드의 감정서를 확인하면 #클래리티 특징을 보여주는 작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클래리티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에 따라 표기하는 작도 기호도 정해져 있습니다. 이번에는 클래리티의 종류와 약자, 표기법을 알아보겠습니다. 인클루전(Inclusion)은 다이아몬드 내부에 내포되어 있거나 표면에서 내부로 연장된 특징입니다.
크리스털 : 다이아몬드에 내포된 광물 결정 내포물
핀포인트 : 10배 배율에서 매우 작게 보이는 흰점
니들 : 작은 막대모양으로 가늘고 긴 결정 내포물
페더 : 다이아몬드에 있는 깨어짐을 가리키는 것.
비어디드 거들 : 다이아몬드 표면에서 내부로 침투된 미세한 페더들
브루즈 : 다이아몬드가 강한 충격으로 표면이 으스러지거나 깨어진 흠.
클라우드 : 핀포인트나 핀포인트보다 더 작은 내포물들이 모여 살짝 뿌옇게 보이는 부분
노트 : 다이아몬드 결정 내포물이 연마된 다이아몬드 표면에 닿아있는 것.
캐비티 : 다이아몬드 표면에서 내부로 크고 깊게 페어있는 부분으로 일반적으로 표면에 닿아있던 결정이 빠져나간 구멍이나 페더가 깨저나가 각이 지게 패인 부분을 말함.
칩 : 거들 에지나 큐릿, 패싯 능선부에 생긴 작고 얕게 깨어져나간 부분.
인덴티드 내추럴 : 연마되지 않은 원래 다이아몬드 결정 표면으로 내추럴이 연마면보다 낮게 내부까지 침투되어 있는 형태.
내부 그레이닝 : 다이아몬드 결정의 불규칙한 성장 흔적
그레인 센터 : 뒤틀린 결정구조가 집중되어 있는 작은 부분.
트위닝 위스프 : 결정 구조의 뒤틀림에 의해 만들어진 뿌연 부분
레이저 드릴 홀 : 색을 띠고 있는 내포 결정을 표백시키기 위해 레이저 광선으로 표면에서 내포결정까지 뚫어 놓은 가느다란 관.
블래미시(Blemish)는 다이아몬드 표면에 한정되어 있는 특징으로 연마, 취급과정 또는 착용 중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추럴 : 연마된 후에도 남아있는 다이아몬드 원래의 결정 표면을 지칭하는 용어.
표면 그레인 라인 : 다이아몬드 결정 구조의 불규칙성이 표면에 나타난 형태.
닉 : 거들이나 패싯 능선부에 작게 떨어져 나간 부분, 작은 V 형태로 보임.
스크래치 : 다이아몬드 끼리 마찰에 의해 긁힌 흔적.
어브레이전 : 다이아몬드끼리 마찰에 의해 패싯 능선이나 큐릿 또는 그 주위를 따라 아주 미소하게 발생된 작은 닉들.
피트 : 돌의 표면에 미소하게 얕게 패인 공동으로 작은 흰점처럼 보임.
엑스트라 패싯 : 다이아몬더의 조그만한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컻팅양식에 필요한 패싯수 이외에 만들어진 패싯.
폴리시 라인 : 폴리싱 중 패싯에 남은 가늘고 평행한 홈.
폴리시 마크 : 과도한 열이나 구조적인 불규칙성으로 표면이 뿌옇게 보이는 부분. 번 마크라고도 부름.
러프거들(RG) : 거들에 패인곳이 있다던가 입상인 경우 또는 거들의 가장자리를 따라 미소한 결함이 있어 거칠게 보이는 거들.